[모두의 네트워크]4장 데이터 링크 계층
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
- 네트워크 장비 간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
-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
- 네트워크 기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 주소를 결정
이더넷(Ethernet)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규칙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
- 랜에서 사용되는 규칙
-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
-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하면 허브에서 해당 데이터를 모든 컴퓨터에 보내지 않고, 목적지에만 전달한다.
CSMA/CD
-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(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)
- 이더넷에서 충돌을 막기 위해 데이터 전송 시점을 늦추는 데 사용하는 방법
- Carrier Sense
-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는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를 확인
- Multiple Access
-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지 않고 있다면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
- Collision Detection
- 충돌이 발생하는지 확인
- 현재는 효율이 낮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스위치를 사용해 충돌을 예방한다.
MAC 주소
- Media Access Control Address(물리 주소)
- 랜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
- 랜 카드에 정해진 번호
- 제조할 때 새겨지기 때문에 물리 주소라고도 한다.
- 유일한 번호로 할당된다.
- 48비트 숫자로 구성
- 예) 00-23-AE-D9-7A-9A
- 앞 24비트는 제조사 번호
- 뒤 24비트는 제조사가 붙인 일련번호
이더넷 헤더
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, TCP/IP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부착한다.
- 이더넷 헤더
- 목적지의 MAC 주소 6바이트, 출발지의 MAC 주소 6바이트, 이더넷 유형 2바이트로 구성
- 이너넷 유형(Ethernet type)
- 이더넷으로 전송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
- 프로토콜 종류를 식별하는 16진수 번호가 들어감
- 예) 0800은 IPv4, 86DD는 IPv6 등
- 트레일러
- FCS(Frame Check Sequence)
- 데이터 전송 도중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 뒤에 추가
-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된 데이터를 프레임이라 한다.
이더넷 헤더를 이용한 통신
허브에 5개의 컴퓨터가 연결된 상황을 가정한다.
- 컴퓨터 A는 이더넷 헤더에 데이터 목적지인 컴퓨터 B의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 정보를 넣고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에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해 프레임을 만든다(캡슐화).
- 물리 계층에서 프레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.
- 컴퓨터가 A가 보낸 데이터를 허브가 포트로 수신한다.
- 컴퓨터 A의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이때 목적지의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가 다른 컴퓨터들은 데이터를 파기한다.
- 컴퓨터 B는 목적지의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가 같기에 데이터를 수신한다.
- 컴퓨터 B는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로 전송된 데이터를 비트열로 변환한다.
- 이후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분리한다(역캡슐화).
만약 이 상황에서 컴퓨터 C도 동시에 컴퓨터 B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CSMA/CD 방식에 의해 컴퓨터 C는 잠시 대기한 뒤 데이터를 전송한다.
스위치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
- 단말기 간 스위칭 기능이 있는 통신망 중계 장치
- 랜을 구성할 때 사용
-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스위칭 허브라고도 불림
- 컴퓨터에서 특정한 다른 단말기로 패킷을 보낼 수 있는 기능 존재
- 통신 효율 향상
- 스위치는 허브와 달리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
- 내부에 MAC 주소 테이블이 존재
MAC 주소 테이블
-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 저장
- 브리지 테이블이라고도 한다.
- 스위치 전원을 켜면 MAC 주소 테이블에 아무 정보도 없음
- MAC 주소 학습 기능을 통해 정보 저장
MAC 주소 학습 기능
더미 허브에는 없는 기능으로, 다음 과정을 통해 MAC 주소 테이블에 정보를 기록한다.
-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가 추가된 프레임이 전송되면
-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
- 출발지 MAC 주소가 없으면 MAC 주소를 포트와 함께 등록
MAC 주소 필터링
- 목적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다면 목적지에만 프레임을 전송
- 목적지 MAC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다면 나머지 모든 포트에 프레임을 전송하는 플러딩(flooding) 발생
전이중 통신과 반이중 통신
- 전이중 통신 방식
-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
- 서로 다른 회선이나 주파수를 이용
- 따라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 없음
- 컴퓨터 간을 직접 랜선으로 연결하는 방식 또는 스위치가 사용하는 방식
- 랜 카드와 허브 간의 동시 송수신 가능
- 반이중 통신 방식보다 효율이 높다.
- 반이중 통신 방식
-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 가며 통신하는 방식
-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 발생
- 허브가 사용하는 방식
충돌 도메인
-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
- 허브에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 충돌 도메인은 허브와 연결된 컴퓨터 전체
- 스위치에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 충돌 도메인은 각 컴퓨터
- 충돌 도메인은 좁을수록 좋다.
- 충돌 도메인의 범위가 넓을수록 네트워크가 지연되기 때문
- 따라서 스위치가 허브보다 통신 효율이 높다.
ARP
- Address Resolution Protocol
- 네트워크 계층 주소와 데이터 링크 계층 주소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는 프로토콜
- 목적지 컴퓨터의 IP 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
- 출발지 컴퓨터가 목적지 주소를 모르는 경우 네트워크에 ARP 요청을 보낸다.
- 이 요청에 지정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는 MAC 주소를 ARP 응답으로 보낸다.
- 출발지 컴퓨터는 목적지 MAC 주소를 얻어 이더넷 프레임을 만든다.
- ARP 테이블
- 출발지 컴퓨터가 MAC 주소를 찾은 뒤 IP 주소와 MAC 주소의 매핑 정보를 보관하는 메모리
- 이후 데이터 통신 시 ARP 테이블을 참고하여 전송
- IP 주소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보존 기간을 ARP 캐시로 지정
- 시간이 지나면 삭제하고 다시 ARP 요청 전송
- ARP 캐시: 가장 최근에 변환한 IP 대 하드웨어 주소를 보관하고 있는 램의 한 영역
이더넷 규격
- 통신 속도, 케이블 종류 등에 따라 분류
규격 이름 의미
- 10BASE-T
- 10
- Mbps 단위의 통신 속도
- 10Mbps라는 뜻
- BASE
- BASEBAND 전송 방식
- T
- UTP 케이블이기 때문에 케이블 종류를 의미
- 10
- 10BASE5
- 5
- 동축 케이블이기 때문에 100미터 단위로 표시한 케이블의 최대 길이를 의미
- 최대 길이가 500미터
- 5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